청년도약계좌 신청으로 청년의 재테크 시작하기

청년도약계좌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 상품입니다. 이 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만기 5년 적금 상품으로,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매칭 지원하며 이자소득에 비과세(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는 중도해지자에게는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중도해지자에게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지 않지만, 재가입은 허용됩니다.

이렇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쌓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융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가입 신청자는 은행 앱(App)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연령 요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 여부 등을 신청 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 가구소득 요건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원칙적으로 비대면으로 확인합니다.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
  • SC제일은행은 ’24.1월부터 운영 개시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받은 청년은 1개 은행을 선택하여 7월 10일부터 7월 21일 중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가입신청은 복수 은행에서 가능하나, 계좌개설은 1개 은행만 선택 가능)

상품 금리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변동금리의 경우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합하여 설정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최종 금리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금리/수수료 비교공시-예금상품금리비교-청년도약계좌금리)에 공시 되었습니다. 해당 포털에는 은행별 최종 기본금리(3년간 적용되는 고정금리), 소득+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및 적금담보부대출 가산금리를 확인 가능 합니다. 특히 은행별 우대금리를 유형별로 상세히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가입 기간

‘23.6월의 경우 첫 5영업일에는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6월 22일과 6월 23일에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23.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운영방식


심사 절차

취급은행 앱(App)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별도 서류 없이 비대면으로 개인소득 확인, 가구소득 확인 등의 절차를 진행합니다.

기여금 지급 구조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만기 5년 적금상품으로,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 매칭 지원 및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기여금 지급구조


중도 해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하는 중도해지자에게는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중도해지자에게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지 않지만, 재가입은 허용할 방침입니다.

외국인 가입

청년도약계좌는 「조세특례제한법」상 비과세 상품으로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다른 비과세 상품과 동일하게 일정한 기준을 갖춘 거주자이면서, 국세청 소득 신고를 통해 소득금액을 증명할 수 있는 거주자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외국인 가입자에 대해서는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만 적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효과

청년도약계좌 효과 (연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효과 (연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금융위원회 보도자료를 참고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